
비트코인의 본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책 가격에 대한 얘기가 아니라, 화폐로서의 본질에 대해서 집중하고 비트코인이 화폐의 진화방향에 맞는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는 책 비트코인을 제대로 알고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나, 인문학/경제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암호화폐를 보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 https://kmong.com/self-marketing/468396/dKrqv4mljE 거래혁명, 암호화폐의 기술적 진화방향 | 15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총 평점 5점의 전자책, 투잡·재 1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5점인 SatoshiSydrome의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서비스를 1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제공 등 15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서비 kmong..

국내 5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구성된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회(DAXA) 발표 - 11.24자로 국내 게임사 위메이드의 암호화폐 '위믹스' 상장폐지 - "유통 계획대비 초과된 유통량은 유의 종목지정 당시 기준으로 초과한 정도가 상당해 중대하다고 판단" - "투자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고, 거래지원 종료 여부 등에 관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언론보도 등을 통해 발표" => 루나, FTX, 위믹스 모두 대표자들의 뻔뻔함이 대단하다. 허황된 얘기를 믿는 나와 대중이 피땀 흘려서 번 돈을 다 태워버렸다. => "암호화폐 시장 = 사기" 라는 등식은 이번에도 증명되었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75038&code=11151400&cp=nv..

왜 애플 캠퍼스 2는 원형일까? 원이 가지는 특징과, 애플의 특성 중 유사한 부분들을 찾아보고, 건축학적 맥락에서 원형이 가지는 의미를 알아본다. 원 - 애플의 모순과 긴장을 나타내는 도형 원 모양의 건물 연결하지만 단절시키는 애플 일반적인 건물은 사각형의 모양을 갖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애플은 완벽한 원형(직선이 기본이되, 일부 영역에 곡선을 도입한 것이 아닌 완벽한 원형)을 본사 사옥의 기본 모양으로 삼았다. 한 회사의 본사 사옥이 갖는 상징성을 고려해보면, 완벽한 원은 애플이 처한 상황, 그리고 그 속에서의 모순과 긴장을 잘 나타내 주는 듯하다. 원은 매우 모순적인 도형인데, 시작과 끝의 구분이 없이 모두를 연결하지만 또한 원의 안과 밖을 명확히 구분 짓고, 단절시킨다. 연결성에 대해 먼저 이야기..

매달 30만 원씩 직접 해보는 미국 S&P 500 지수 적립식 투자. 이번이 13번째 투자이다. 이제 1년을 꽉 채우게 되었다. 꾸준히 투자하면 무조건 이익이 날것이라고 생각했지만, 9월 투자 결과 손실로 돌아섰다. -1.0% 적립식 미국 지수 매매 13회차 투자 결과 9월은 최악의 달이었다. 9월 월간 하락률은 다우 지수가 8.8%, S&P 500 지수가 9.3%, 나스닥 지수가 10.5%이다.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한 달이었다. 40여 년 만에 발생한 최악의 인플레이션,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각국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때문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이 꺾이고 있다고 확신하는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파월 Fed 의장은 9월 26일 잭슨홀 ..

온라인으로 세계 유명 건축물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첫 건물은 애플의 두 번째 캠퍼스인 애플파크(Apple Park)이다. 애플이 본격적은 스마트폰 시장에서 강세를 나타내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스티브 잡스의 디자인 철학이 건물에 그대로 반영되어 많은 건설비(50억 달러)와 도전적인 방식(초대형 곡면 유리, 자체 발전을 통한 넷제로)이 사용되었다. 애플 파크 개요 애플 파크는 애플의 두 번째 캠퍼스로, 기존 캠퍼스와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 카운티의 쿠퍼티노 시에 위치해있다. 스티브 잡스의 마지막 대중 앞 프레젠테이션 - 쿠퍼티노 시의회 2011년 6월 7일 스티브잡스는 쿠퍼티노 시의회에서 애플 캠퍼스 2(준공 이후 공식 명칭은 애플파크)의 계획을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

오픈씨에서 핫한 이름 만들기, ENS 서비스 이용하기 Opensea에서 상위 거래량을 보이고 있는 ENS(Ethereum Name Service)* * 쉬운 이름을 만들어서 복잡한 암호화폐 지갑주소 대신에 사용가능하다. 이름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고 다음과 같다. 1) ENS 홈페이지에서 암호화폐 지갑을 연결한 뒤,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검색 2) Avaiable로 표시가 되면, 클릭하여 사용기간별 비용을 확인 - 이더리움 거래 수수료(gas fee)는 고정값이어서 기간이 늘어날수록 가성비가 존재한다. - 1년 비용(U$7.57)과 3년 비용(U$17.71)이며 중간에 연장도 가능하다. 3) 도메인 매입거래를 하면, 중간에 약 1분간 트랜잭션을 기다려야 한다. 4) 개설된 주소에 이더리움 지갑주소를..

이더리움 머지 이벤트 이후, ETH PoW 어떻게 받나요? Ethereum PoW가 하드포크되었으며, EthereumPoW 채굴자들은 이에 대한 Mainnet 정보를 공개하였다. 이더리움 하드포크는 메인넷을 달리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메타마스크 등의 암호화폐 지갑에 다음 정보를 추가하여 새로운 메인넷에 접속해야 하드포크된 토큰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인넷에 접속해보니, 다음과 같이 ETHW라는 토큰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약, 개인 지갑이 아닌 CEX에 보관하고 있었다면 별도의 에어드랍 절차가 필요한데, 이는 통상 스냅샷 시점이후 몇일 정도 소요된다고 한다.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인 주요 5대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는 에어드랍을 지원하겠다고는 했지만, 아직 ETHW를 ..

이더리움 머지(Merge), 성공! PoW(Proof of Work) → PoS(Proof of Stake)로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전력량이 최대 99.95%까지 줄어들기 때문에, 에너지 가격에도 영향을 줄것으로 보인다 채굴자들은 이더리움 클래식로 이전이나, ETHW 하드포크를 준비중이다 이더리움 가격은 머지후 보합세이며 PoW 대비 보상률이 낮아져서, ultra sound money를 향해가고 있다. The Merge 축하 무료NFT 배포 Consensys는 72시간 동안 무료 NFT를 배포하고 있다. 가스비만 부담하면 기념 NFT를 획득가능. 다만, 특별한 쓰임새는 없다. [관련정보]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8135..

국토교통부는 8.16(화)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발표하였다. 우수 입지에 양질의 주택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목표이다. 핵심 내용을 살펴보면 실체가 없는 선언적 수준의 대책, 원인과 결과를 잘못 해석하여 문제를 다른 방법으로 풀고자 하는 모습들이 보여 다소 실망스럽다. 주요 내용들을 함께 살펴보자. 정확한 원인 분석 정부의 원인분석은 항상 적절하다. 정부는 국민의 주거 불안정의 이유로 다음을 뽑았다. 1. 비싼집값 2. 도심에 공급이 없다. 3. 신도시는 교통이 불편하다. 4. 주택 품질이 낮다(층간소음, 주차장 부족 등) 어떻게 바꿀 것인가? 여기부터 이번 정권도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고, 규제는 개선하지만 이익은 계속 환수하겠다는 앞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도 하고 있다. 1. 민간이 주..

Ethereum Name Service(ENS)가 높은 수익을 창출중 ENS는 기존의 복잡한 크립토웰렛 주소를 .eth를 끝나는 문자열(숫자,특수문자 등 포함)로 나타내서 직관적이면서 쉽게 외우거나 입력할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로 일명, Human-readable 서비스이다. 웹사이트 도메인과 사실상 유사하게 보이는데, Nike, Hermes, Chanel 등은 도메인이 무척 높은 가격으로 Opensea(2차 거래소)에서 거래되었다. 해당 도메인을 NFT로 해서 거래할 수 있는데 nike.eth는 약 6만달러에 거래되었다. 해당 이름주소 이용에 사용료를 ether로 지불해야 되는데, 기간별로 이용료에 차등이 있다. 또한, 1~2년 사용기간을 설정하고 추가로 연장도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정보] ht..
- Total
- Today
- Yesterday
- blockchain
- 이더리움
- defi
- 이두희
- 메타버스
- 위메이드
- 비트코인
- cryptocurrency
- Metaverse
- Syltare
- nft
- opensea
- 지수추종
- 인플레이션
- 블록체인
- 가상자산
- dex
- P2E
- Ethereum
- Crypto
- 암호화폐 투자
- 천재이두희
- NFT 투자
- Bitcoin
- 클레이튼
- ETF
- S&P
- 메타콩즈
- 암호화폐
- klayt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