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5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구성된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회(DAXA) 발표 - 11.24자로 국내 게임사 위메이드의 암호화폐 '위믹스' 상장폐지 - "유통 계획대비 초과된 유통량은 유의 종목지정 당시 기준으로 초과한 정도가 상당해 중대하다고 판단" - "투자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고, 거래지원 종료 여부 등에 관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언론보도 등을 통해 발표" => 루나, FTX, 위믹스 모두 대표자들의 뻔뻔함이 대단하다. 허황된 얘기를 믿는 나와 대중이 피땀 흘려서 번 돈을 다 태워버렸다. => "암호화폐 시장 = 사기" 라는 등식은 이번에도 증명되었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75038&code=11151400&cp=nv..

클레이튼, Magma Hard Fork 진행 - v1.9.0 Magma Hard Fork 진행 - 8월 8일 Baobab 테스트넷, 8월 29일 Cypress 메인넷 하드포크 예정 - 기본 가스피의 범위는 25~750 ston이며, 각 거래 수수료의 절반이 소각되어 디플레이션이 강화 => 클레이튼이 'bot' 트랜잭션 증가로 네트워크 다운이 잦았으며, 이를 가스비 인상으로 해결하려고 했다가 이용자가 감소하는 부작용에 시달려서, 한차례 가스비를 인하한 바가 있다. 동적 가스비 가격 메커니즘을 통해서 가스비를 낮추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높이며, 마지막으로 가스비 소각을 통해서 디플레이션을 강화하려는 목적이 크다고 보인다. => 최근 클레이튼이 가격 급락으로 NFT 등 관련 생태계도 침체된 바 있어서, 가격 부..

망한 블록체인에서 다른 블록체인으로 이사?(마이그레이션) - 컴투스는 테라 블록체인내에서 운영중인 C2X 플랫폼의 메인넷 이전을 진행한다고 발표 - 특히, 컴투스는 출시예정이던 P2E 게임을 메인넷 이전에 따라서 연기해야 되는 상황이 되었다. - 메타콩즈 테라월드도 메인넷 이전을 결정하고, 고민하는 상황이며, - 클레이튼에서 테라로 떠났던 국산 M2E 코인워크도 프로젝트명을 변경하고, 다시 메인넷 이전을 고민중이다. - 게임업계, 블록체인 업계에 있는 사람들도 안정성과 편의성이 있는 충분히 좋은 블록체인을 고민하지 않고 욕심이 앞서 메인넷을 잘못 선택한 상황이다. 특히, 메타콩즈와 코인워크는.. 클레이튼을 한번 버리고 떠난 시점이라 잘못된 선택의 댓가를 치르고 있다. 클레이튼과 폴리곤, BNB는 메인넷 ..

클레이튼 이대로 망하나요? 실타래, 메타콩즈 이두희씨가 지휘하는 NFT 프로젝트 Exodus 현실화 실타래는 클레이튼에서 시작되었으나 이더리움 마이그레이션을 통해서 서비스되고 있는 P2E 프로젝트이다. 메타콩즈는 국내 1위의 상업 NFT 프로젝트였는데, 현재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서 이더리움 마이그레이션을 준비하고 있다. (준비라는 표현은.. 이더리움 이전을 약 99% 가량이 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인기있는 M2E NFT 프로젝트인 Coinwalk도 클레이튼에서 테라로 민팅 네트워크를 변경하였다. 경쟁력 없는 클레이튼 블록체인 네트워크 대체 왜 이렇게 인기있는 프로젝트들이 Exodus 하는 것일까? 클레이튼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경쟁력이 없다는 것이 1차적인 답변일 것이다. 국내 사용자들은 한글로 제..

1. Pancake Swap : BNB기반 Dex 1위 - BNB기반 Dex 1위로서, 스시스왑 포크에서 탄생하였으며, CPMM(Constant Product Market Maker) 모델 사용 - 스왑수수료가 저렴하고, 거래속도가 빠름 - Dex이외에도 Lottery, Staking, Prediction, NFT Market, IFO 등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 공격적인 소각 매커니즘이 존재하나, 실질 인플레이션율은 52% 내외로 오버행 리스크가 큰편 - 탈중앙화 거래소를 표방하나, 실제 개발총괄 팀이 존재하며 주요 서비스중 Lottery, Prediction은 사행성이 존재하여 정부 규제가능성 존재 2. Aave : No.1 Lending Protocol - '17년 Etherlend로 P2P 대출서..

1. EGLD : 블록체인의 확장성과 보안성을 달성한 메인넷 - '20.7월 메인넷 런칭, '20.4분기 스마트 컨트랙트 도입, '21.1월 EGLD 전용 지갑(Maiar) 출시 및 스테이킹 서비스 제공 - 적응형 상태 샤딩을 통해 각 샤드당 5,400TPS 처리, 총 15,000 TPS 처리가능한 메인넷 - 보안지분증명으로 보안성을 확보, 3,200개의 노드와 토큰 이코노믹스는 탈중앙화 수준(상위 10위 홀더 비중은 22%)이 높은 편 - EVM 호환이 되지 않아서 Elrond VM을 사용한 디앱이 부족한 상태. 다만, 개발언어로 범용적인 프로그래밍 언어(C, C++, Rust)를 사용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도 존재. 2. Sandbox : 대표적인 블록체인의 P2E 게임 플랫폼 - 로블룩스와 같이 사용..

1. 클레이튼 거버넌스의 대표적인 블록체인 기업인 Ozys, Polygon와 파트너쉽 체결 폴리곤 체인에 클레이스왑(Klaytn의 Defi 서비스) 프로토콜을 올릴 예정 폴리곤은 이더리움에 연결되는 레이어2 솔루션이며, 클레이튼과 폴리곤 체인이 연결되면 외부 유동성 신규유입이 가능해 질것으로 기대 2. 클레이튼 가스비(Gas Fee) 인상 Bot 트랜잭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as Fee 인상(기존 25ston -> 750ston) 대신, 가스비 증가분(725 ston)은 소각주소 0xdead로 보내 소각예정 일정 : '22.4.3자 Klaytn v1.8.0 적용, 블록넘버 : 87091200 3. Klayswap 멀티체인 진출 4월중 폴리곤에서 새 프로토콜 오픈 목표 새로운 프로토콜에는 별도의 거버..

1. Cosmos : 블록체인의 인터넷 (확장성 문제 해결이 목표) - '21년 스타게이트 업그레이드 이후 IBC 프로토콜 런칭 - Cosmos-SDK 기반 프로젝트와 연결, 현재 총 29개의 존(Zone) 활성화되었으며, 테라, 크로노스, 오스모시스 등으로 생태계 확장중 - EVM과 호환 가능한 Evmos 허브 런칭 예정으로 이더리움 연결을 바탕으로 크로스체인 디파이 수요 전망 - 네이티브 코인(ATOM)의 주요 활용처가 경쟁 프로젝트 비해서 열위한 수준으로 네트워크 확장과 가격상승의 충분히 비례하지 않음 2. BNB (Build and Build) : 바이낸스 거래소의 중앙화된 블록체인 - 탈중앙화를 희생시켜 확장성을 높인 블록체인(중앙화된 바이낸스 거래소의 블록체인, 노드 21개에 불과) - 값싼 ..

1. 테라(Terra(Luna)) 개요 - (설립자) '18. 1월 Daniel Shin과 Do Kwon이 설립. - (출시) '19. 4월 메인넷 출시, '20. 9월 미국 달러, 한국 원화, IMF SDR 등을 통화 바스켓에 연동되어 있는 스테이블코인 제안. 테라의 네이티브 코인인 루나(Luna)는 프로토콜의 스테이블코인 가격을 안정시키는 데 사용(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UST와 1:1 페깅) - (포지셔닝) 가격 안정성과 유용성에 초점을 맞추고 개발되었으며, 결제서비스인 'CHAI'를 통해 결제 플랫폼으로 주목받음 - (특징) 디파이 서비스인 앵커프로토콜과 라이도 연계로 TVL이 급증하며 스테이블 코인 TerraUSD(UST) 발행량도 급증. TVL 기준 이더리움에 이어 2위 수준 - 풀타임 개발자..

1. Klaytn2.0의 핵심 전략은 3가지로 보인다. - 다수의 Layer2와의 결합을 통한 메타버스, 게임 체인 등으로 확장(Wemix, Bora가 Layer2에 해당) - Ethereum equivalence를 통해서 이더리움과 호환성도 높일 예정 - $1Billion 규모의 Eco Fund를 조성해서 생태계 투자 2. 김치코인을 넘어서 글로벌 코인으로 - 메신저 카카오의 부속서비스중 하나인 크립토월렛 Klip을 별도 어플리케이션 출시예정 * 특히 ETH/ERC2.0와 이더리움 NFT를 지원하는 오픈월렛 정책도입 - Blockchain Game Alliance와 제휴하며 글로벌 컨텐츠 도입확대 3. 클레이튼 네트워크는 경쟁력이 있는가? - 김치코인 네트워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다. 테라는 국내보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S&P
- 클레이튼
- nft
- blockchain
- defi
- 지수추종
- 이더리움
- P2E
- 메타버스
- Metaverse
- Ethereum
- 이두희
- opensea
- NFT 투자
- 천재이두희
- Bitcoin
- 메타콩즈
- 암호화폐
- 인플레이션
- Crypto
- cryptocurrency
- 가상자산
- ETF
- 블록체인
- dex
- 암호화폐 투자
- 비트코인
- klaytn
- Syltare
- 위메이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